QMK Polling Rate

QMK Polling Rate

QMK Polling Rate를 1k(1000hz)로 설정하기 위해서 구글을 검색하면, 몇가지 글이 나오고 공통적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수정 해야하는 내용은 config.h에 USB_POLLING_INTERVAL_MS와 QMK_KEYS_PER_SCAN 설정을 넣으라고 되어 있습니다. 다만, 위 소스를 찾아보면 3년 전 내용이기 때문에 최근 버전의 qmk를 사용하게 되면 불필요한 설정입니다. 즉, 최근 버전의 qmk는 기본적으로 Polling Rate가...
QMK RP2040 PIO 여러 개 사용 하기

QMK RP2040 PIO 여러 개 사용 하기

“PAL_MODE_OUTPUT_OPENDRAIN” 에러를 해결 후 본격적으로 GeulPan42TP를 만들면서 걱정되었던 부분은 “RP2040에서 스플릿, 트랙포인트, LED를 동시에 사용할 때 어떻게 해야하는 거지?”였습니다. QMK RP2040 문서를 봐도 잘 모르는 저는 일단 부딪혀보면서 할 수 밖에 없는데 일단은 작동하니 관련 내용을 기록으로 남겨 둡니다. RP2040 QMK Driver QMK RP2040 문서에서 사용할 수...
PAL_MODE_OUTPUT_OPENDRAIN Error

PAL_MODE_OUTPUT_OPENDRAIN Error

QMK 컨트롤러를 RP2040을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트랙포인트를 연결 과는 과정에서 “PAL_MODE_OUTPUT_OPENDRAIN”이 발생했습니다. QMK PS/2 문서 도입부를 보면 QMK에서 PS/2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USART, interrupts, busywait” 중에 하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There are three available modes for hooking up PS/2...
YD-RP2040 with QMK

YD-RP2040 with QMK

geulpan42TP라고 하는 트랙포인트가 적용된 분할 키보드를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이때 컨트롤러로 YD-RP2040을 사용했는데요, YD-RP2040에 대한 정보를 간략하게 정리해 봅니다. YD-RP2040과 Raspberry Pi Pico의 차이점 링크에 따르면 차이점은 3v3_en 대신 GP23이 위치하고, 3V3는 SDIO 핀 옆으로 이동 했다고 합니다. QMK 사용시 주의 사항으로는 내장 WS2812가 GP23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내장 WS2812와...
QMK Firmware Build and Flashing with WSL2

QMK Firmware Build and Flashing with WSL2

키보드 펌웨어인 QMK는 다양한 빌드 환경을 지원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OS가 윈도우기 때문에 QMK MSYS에서 주로 작업을 했었는데요, WSL에 설치하고 사용해보니 빌드 속도가 비교 불가일 정도로 WSL이 빨랐습니다. WSL에 QMK를 설치하고 나서 펌웨어 빌드가 빨라진것은 좋았는데, 펌웨어를 플래싱하려고 보니 잘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이미 능력자분들께서 플래싱 하는 방법을 공유해 주셔서 까먹기 전에 작성합니다. 참고 링크 : WSL2でQMK...